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충시설·전적비·전적지65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돌아오지 않는 다리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판문점에 있는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공동 경비 구역 서쪽에 흐르는 판문천에 위치하고 있다. 포로들이 한 번 다리를 건너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다는 데서 유래한 이 다리의 본래 이름은 널문다리였으나 1953년 7월 휴전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포로 교환을 비롯하여 남북적십자회담 대표들의 왕래 등 많은 사건들이 이 다리를 통해 이루어졌다. 2025. 5. 12.
독립투사 유석 남형우선생 순국기념비 고령 연조공원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 연조공원에 세워져 있는 독립투사 유석 남형우선생 순국기념비는 고령 출신으로 1909년 비밀독립운동단체인 대동청년당에 가입 활동하였으며, 1915년 대구의 안일암에서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를 결성하여 활동을 하다가, 1919년 경남 창원 등지에서 3.1 독립문세운동을 적극 주도하였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한 남형우(南亨祐, 1874.7.27~1943.3.13, 1983년 건국포장) 선생의 공적을 추모하고자 건립됐다. 국가보훈부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30-1-35남형우선생은 1943년 3월 13일 일제의 감시와 위협, 일본식 성명 강요[創氏改名] 및 신사 참배 강요 등을 참을 수 없어 음독 자결하였다고 한다남형우선생의 호는 유석(瘐石)으로 알려져 있는데 안내문에는 .. 2025. 5. 1.
애국지사 해영 신철휴선생 기념비 고령 연조공원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 연조공원에 세워져 있는 애국지사 해영 신철휴선생 기념비는 고령 출신으로 1919년 간도신흥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11월 9일 만주 길림성 파호문의에서 의열단 결성에 참여, 밀양경찰서 폭파계획 사건으로 징역 7년형의 옥고를 치르고 출옥한 신철휴(申喆休, 1898.5.17~, 1990년 애국장, 1997년 건국포장)선생의 공적을 기리고자 건립됐다. 국가보훈부 현충시설 관리번호 30-1-33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에 있는 연조공원은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 고령 향교(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229호) 일대 2만 4500㎡ 대지의 야트막한 언덕에 조성된 공원이다.연조공원에는 고령 향교와 ‘대가야 국성지’라는 표지석이 있는데, 이석기(移石記)에 의하면 42년에 세워진 대가야국.. 2025. 5. 1.
충주 독립유공자공적비 충주 중앙탑공원 충주는 유서 깊은 한민족의 발자취와 독립운동 선열들의 얼이 서려있는 곳으로 한말 유인석 의병장의 충주성터 의병전투지를 비롯하여 곳곳에 의병관련 사적지가 많은 곳이다. 또한 3.1독립만세운동이 거족적으로 일어난 만큼, 이에 따른 사적지가 관내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는 곳도 충주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4주년을 앞둔 2013년 4월  충주 중앙탑공원에 세워진 독립유공자 공적비는 일본에 빼앗긴 국권과 조국을 찾고자 국내외에서 자신의 고귀한 생명을 바친 거룩한 애국선열들의 호국정신을 천추만대에 길이 전하고자 충주시와 후손들의 뜻과 정성을 모아 세워졌다. 세른 여덟 분 중에는 오직 사생취의 정신으로 의병투쟁을 전개하신 백남규 선열들과 3.1독립운동의 상징이 된 유관순 열사의 감방 동료인 어윤희 여사를 비롯하.. 2025. 4. 7.
625 전쟁 당시 적 피습 대비 방호벽 - 함양군 서하면 서하치안센터 통영대전고속도로 서상IC를 빠져나와 육십령로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함양군 서하면 송계리다. 출장 중에 자주 지나 다니는 길이라 다음에 둘러 보려고 했던 전쟁유적지가 한 곳이 있는데 서하지서 치안센터에 남아 있는 625 전쟁 당시  '적 피습 대비 방호벽(참호)' 이다.이 방호벽은 1950년 8월경에 설치된 것으로 그 규모는 총연장 130m, 폭 방호벽 1.2m (참호 8.5m), 높이 방호벽 1.6m(참호 3.5m)로 6.25 전쟁 중 덕유산에서 퐐동하던 빨치산 방어를 위하여 당시 지서 경찰관들과 마을 주민들이 돌과 흙으로 방호벽과 참호를 축성하여 지켜냈다.현재는 참호 4개 중 3개는 없어지고 1개와 방호벽 일부가 남아 명백을 유지하고 있다. 2025. 4. 7.
충주 충혼탑 · 충장공 신립장군과 팔천고혼위령탑 충주의 명승 탄금대에는 충혼탑이 하나 서 있다.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위해 순국한 충주 출신 전몰장병과 경찰관, 군속, 노무자 2838인의 넋을 추모하고자 1956년에 세운 것으로 매년 6월 6일 현충일을 맞아 향사를 지낸다. 그 뒤에는 도순변사 신립이 휘하 장졸 8천여명과 함께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왜적을 맞아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전적지임을 기리기 위한 '신립장군과 팔천고혼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또한 그 옆에는 항일시인 권태응 선생의 감자꽃 노래비가 있어 발길을 또 한 번 붙잡는다. 충주 충혼탑이 충혼탑은 1955년(을미년) 11월에 대한민국 상이군경 용사회 충청북도 충주 분회와 대한민국 제대 장병 보도회(지금의 재향군인회)에서 광복 이후 전사한 충주 · 중원지역의 장병과 경찰관, 곤무원, 군.. 2025. 3. 24.
진안 충혼탑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용담면 망향의 동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용담면 수천리 13-14 태고정 옆에 있는 충혼탑은 6.25전쟁으로부터 나라가 위기에 놓여 있을때 민족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고자 참전하여 희생된 21명(이기호, 윤태희, 김종석, 최칠용, 박용석, 유관복, 박창섭, 고삭권, 김순봉, 강중구, 김래연, 박영식, 박상근, 고종옥, 김정기, 허남균, 이준석, 고광순, 한한기, 한한석, 전락기)의 영웅들을 기리고, 그 호국정신과 충정을 이어받아 이 땅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용담면민의 마음을 모아서 1986년 건립된 것이다.  용담댐 수몰로 태고정이 있는 현재의 위치로 이전 설치되었으며 2003년 국가보훈부 현충시설로 지정되었다. 2025. 1. 1.
강진 충혼탑 · 국가유공자추모비 · 참전유공자기념탑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34-15번지 아름다운 강진읍 전경과 풍요로운 강진 만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보은산 자락에는 조국을 위해 신명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한 충혼탑과 참전유공자기념탑이 세워져 있다.충혼탑은 이 고장의 순국선열 및 애국지사 41명,전몰호국용사 557명,월남 참전 용사 16명 등 모두 614명의 넋을 달래기 위해 온 군민의 힘과 정성을 모아 1969년 6월 6일 강진군충혼탑건립위원회에서 건립하였으며 탑의 규모는 높이9m, 폭 1.5m이다.​강진군에서는 조국수호에 일생을 바치신 고인들의 공훈을 드높이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선양하고자 매년 6월 6일 현충일에 많은 군민이 이곳에 모인 가운데 추념행사를 거행하고 있다.여기 조국과 자유를 우해 피를 뿌린 젊은이들이 있다.공.. 2025. 1. 1.
지리산전적기념비 · 지리산충혼탑 남원시 산내면 지리산의 호국영령들을 찾아 지리산으로 가는 길의 날씨는 우울했다. 지리산에는 늦은 휴가철이었지만 몇일간 내린 비로 탐방로가 통제되어 한산했고 가랑비가 내리며 곧 비가 쏟아질 듯한 날씨가 계속됐다. 민족의 영산이자 현대사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의 한자락, 뱀사골 초입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전적비와 지리산충혼탑을 찾아보았다.지리산 뱀사골로 향하는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에는 1948년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지리산에 출몰한 공비토벌작전시 산화한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9년 기념비를 세워 후세에게 반공교육의 교육장으로 추모코자 건립한 지리산지구 전적비와 2007년 재건립한 지리산충혼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1997년 당시에는 2층 건물의 전적기념관과 함께 건립하였는데 전적기념관은 이어서.. 2024. 11. 25.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자유수호의 탑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은 1950년 공산세력의 불법침략으로 함락위기에 놓인 대한민국을 UN의 깃발아래 목숨을 바쳐 자유 민주주의를 지켜낸 우방국가 젊은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영원히 기리고, 그뜻을 소중히 여기기 위해 6·25전쟁 당시 전세의 역전에 결정적 계기가 된 인천상륙작전이 있었던 이곳에 1984년 인천 시민의 정성으로 건립됐다.자유수호의탑 정면 하단에는 한국전쟁 전투부대 파견국 16개국(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캐나다,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터키, 영국, 미국)과 의료지원국 6개국(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이 새져져 있다.자유수호의 탑 우측에는 한국동란중 인천상륙작전에 참전, 자유와 평화.. 2024.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