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충시설·전적비·전적지57

형산강 6.25 한국전쟁 최후의 방어선 워커라인 낙동강 방어선의 동쪽 끝 형산강에서 벌어진 6.25 한국전쟁 포항지구전투는 44일간 (1950.8.11~9.23) 2,301명이 전사한 혈전이었다. 이 곳 형산강은 최후의 방어선으로 형산강 도하작전을 통하여 포항 탈환은 물론 북진 추격에 교두보를 구축한 역사적 현장으로서 당시 혈산강이라 불렸던 여기에 포항시는 2009년 9월 19일 작은 돌 하나를 세웠다. 6·25전쟁에서 ‘낙동강방어선’이란 국토의 90%를 북한군에게 빼앗긴 국군과 유엔군이 부산을 지키기 위해 1950년 8월 초~ 9월 중순까지 최후의 결전을 벌였던 방어선을말한다. 낙동강 방어선은‘부산교두보(Pusan Perimeter)’ 또는 ‘워커라인(Walker Line)’ 이라고 부른다. 당시 미 제8군사령관 워커장군의 낙동강방어선은 남해안의 마.. 2024. 7. 22.
육군3사관학교 호국상 육군3사관학교 호국상 호국간성의 요람 육군3사관학교 충성관 앞에는 완전무장을 한 병사가 왼손에는 소총을 오른손에는 빨간 횃불을 들고 서 있는 호국상이 세워져 있다. 호국상 정면 아래에는 '우리의 푸른 기상 온 누리에 떨치고저 충성벌의 맑은 정기 호국의 깊은 뜻을 알알이 새기노라;"라고 새겨져 있다. 호국상은 1974년 12월 21일 건립되었으며, 당시 학교장은 제3대 육장군 소장이었다.육군 정예장교 요람인 육군3사관학교는 2024년 현재 창설 56주년을 맞이하였다. 학교 창설 당시 우리나라는 조국 근대화에 매진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하던 시기였으나, 북한은 우리의 발전을 방해하기 위해 1968년 1·21 청와대 기습과 美 푸에블로호 납치,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등의 무력 도발을 자행하는 등 심각한 국가.. 2024. 7. 18.
경주 충혼탑 · 625전쟁 월남전참전 명예선양비 · 한국전쟁 민간희생자 위령탑 신라시대 때 화랑들의 훈련장으로 쓰일 만큼 역사가 오래된 숲 황성공원 안에는 경주예술의 전당, 시민도서관, 씨름장, 국궁장, 공설운동장, 김유신 장군 기마상, 박목월 시비, 향가공원 등이 있으며 공원 주위는 온통 숲으로 덮여있다. 황성공원 내에는 또한 충혼탑과  625전쟁 월남전참전 명예선양비 그리고 한국전쟁 민간인희생자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경주 충혼탑6·25전쟁 기간 경주 시민은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북한군 제12사단의 침략에 맨주먹으로 맞섰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1950년 6월 25일 남침 이후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후퇴 및 방어, 반격 및 북진, 38선 인근의 고지쟁탈전, 공비 토벌작전 등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 또는 부상을 당하였다.  경주시 충혼탑은 6‧25 전쟁기간에 전사한 경주 출신.. 2024. 7. 9.
영천 현충시설 화북 애국지사 추모공원 황보근 · 조병진 · 홍종현 · 황보선 · 이진영 · 조병화 · 조재복 애국지사 추모비  북영천 IC 를 나와 35번 국도를 따라 오리장림으로 가는 길 오산마을 우측 도로변에는 지역 출신 애국지사들의 추모비가 세워져 있는 화북 애국지사 추모공원이 있다. 추모공원에는 황보근 · 조병진 · 홍종현 · 황보선 · 이진영 · 조병화 · 조재복 애국지사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다.이 비는 항일 의병부대인 산남의진(山南義陣)에서 활약한 황보근(1882 〜1963) 지사, 영천읍 장날 등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한 조병진(1891 〜1961) · 홍종현(1890〜1977) · 조재복(1897〜1952) 지사,비밀결사인 구화회 및 적우동맹에서 학생 항일운동을 전개한 황보선(1908〜1982) 지.. 2024. 7. 5.
인천상륙작전 UN군 상륙지점 녹색해안 인천 월미도 인천 월미도 유람선 선착장입구에 들어서면 우측에 세워져 있는 인천상륙작전 상륙지점중 하나인 녹색해안(Green beach)를 알리는 기념비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곳이 실제 상륙이 이루어졌던 지점은 아니다. 월미도는 이후 매립이 진행됨으로서 실제 상륙지점에서 해안쪽 직선거리인 이 지점에 기념비를 세운 것이다. 11950년 6.25전쟁이 초기 국군과 UN군은 북한군의 기습공격과 엄청난 전투력에 밀려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률 거듭했다. 이때 맥아더 장군은 북한군의 주력을 견제하면서, 북한군의 후방을 강타하는 내용의 인천상륙작전올 딘행했다 인천은 서울로 잡근할 수 있는 최단거리 항구였고 북한군의 보급선을 차단할 수 있는 요충지였다. 또한 수도 서울을 탈환함으로써 적에게 심리적 타격을 가 할 수 있는 이점이 .. 2024. 7. 1.
장사상륙작전 전몰용사 위령탑 ·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 공원 최근에는 호국보훈의 달의 되면  한국전쟁 당시 잘 알려지지 않은 소재를 찾아 소개하는 특집 프로그램에 장사상륙작전이 많이 소개됐습니다. 필자도 오래전에 장사상륙작전에 대해 취재했고 이후 개관한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도 소개해 드린바 있습니다. 6·25전쟁 당시 유엔군과 국군이 반격을 시도하여 서울 탈환의 초석을 마련했던 인천상륙작전은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장사상륙작전은 생소하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이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에서 실시된 또 다른 상륙작전이 있었습니다.  바로 작전명령 174호 장사상륙작전입니다. 1950년 9월 14일 새벽, 772명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학도병들은 문산호를 타고 장사해안에 상륙하여 국도 제7호선을 봉쇄하고 조선인민군의 보급.. 2024. 6. 24.
논산 연무대 연무현충공원 무명용사기념상 · 국토수호충성탑 연무현충공원논산 육군훈련소 연무대 정문앞에는 1976년 12월 22일 조성된 작은 가로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연무현충공원이라 명명된 가로공원에는 무명용사기념상, 국토수호충성탑이 세워져 있고 M47, M48전차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후 2004년 1번국도의 교통량 증가에 따른 도로 확장으로 무명용사 기념상을 현 위치로 이전하며 주변을 현충공원화하여 무명용사의 충혼을 달래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연무 현충공원으로 조성하였다.1976년 공원 건립 취지문에는 아래와 같이 새겨져 있다. 조국 수호에 불철주야 헌신하고 계신 국군 장병들의 무운장구를 기원하고자 여기 24만 군민의 뜻을 모아 우리 정예 국군의 요람지로 가는 연무로를 개발하고 연무대 정문앞에 자그마한 가로공원을 조성하다. 1976년 12월22일 .. 2024. 6. 21.
완주군 현충시설 - 삼례 완주군 충혼탑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현충시설을 자주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 소개할 국가보훈부 지정 현충시설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1429-29 충혼탑공원에 세워져 있는 '완주군 충혼탑'이다. 삼례 한별고 정문을 지나 꽃동산어린이집 입구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 충혼탑은 완주군 출신으로 6.25전쟁 기간에 전사한 전몰용사들의 숭고한 애국심과 애향심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그들의 유족둘을 위로하기 위해 1963년 10월 7일 준공 하였으나 이후 철거하고 2000년 6월 6일 현재의 장소에 다시 건립하였다. 2003년 9월 15일 현충시설로 지정됐다.​6·25전쟁 기간 완주 군민은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북한군 제6사단의 침략에 맨주먹으로 맞섰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 2024. 6. 19.
해병대 월성 무장공비 격멸 전적비 31번 국도 동해안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가 나온다. 하서1리는 동해의 기운을 받아 아름다운 자연환경속에 자리 잡은 양남면의 소재지로 하서3리 경계지점의 해변에 하서해안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주위에는 지역의 명소인 '하서솔밭'으로 나이가 200여년이 넘는 해송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숲은 해풍을 막아주는 방품림과 풍치림의 역할을 하면서 지역민과 외지 휴양인들에게 휴식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해병대1사단에서 복무하며 이곳에서 해안방어 임무를 수행해 봤던 해병들이라면 이곳을 찾을때 반드시 들려보는 잊지 못하는 추억의 장소이기도 하다. 하서해변공원 마을 앞에는 해병대 월성무장공비격멸전적비가 세워져 있고 공원내에는 6.25참전 및 월남전 참전용사의 충정어린 호국정신을 기리기.. 2024. 6. 12.
해병대 104고지 전적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적의 최후방어선인 104고지와 연희고지군 일대에서 저항하던 적을 격파하여 서울을 탈환하고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할 수 있도록 결정적 기여를 한 전투가 바로 해병대의 104고지 전투이다. ​해병대 104고지 전적비는 1982년 9월 28일 해병대사령부가 서울 탈환의 결정적인 기여를 함으로서 상승 해병의 위용을 만천하에 떨친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산100-1번지에 건립하였었다.9월15일 인천 상륙작전에 성공한 해병대는 곧바로 인천을 장악한 후 경인가도를 따라 서울을 향한 진격을 시작하여 9월17일 부평, 9월19일 소사 및 영등포, 9월 21일에 김포 및 강화도에 진입하여 공격기세를 살려서 적을 격파하고 서울을 향한 진격에 박차를 가하였다.  한국 해병대(.. 2024. 6. 12.
반응형